"생수병 쓰레기 줄이려고 정수기 샀더니, 오히려 전기료가 더 나온다는데 사실인가요?"
환경 보호를 위해 생수병 사용을 줄이고 정수기를 선택한 소비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작 정수기가 예상보다 전력을 많이 소비해 친환경 효과가 떨어진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오늘은 친환경적인 정수기 선택 방법을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내합니다.
정수기, 정말 친환경적인가?
정수기는 일회용 페트병 소비를 크게 줄이는 친환경적인 선택입니다.
환경부 보고서(2022)에 따르면, 국내에서 연간 소비되는 생수 페트병은 약 49억 개에 이르며, 이 중 재활용률은 약 40%에 불과합니다. 반면 정수기를 사용하면 가정당 연간 최소 500개 이상의 페트병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기식 정수기의 경우 월간 전력 소비량이 평균 20~50kWh에 달해 전기 사용량 증가라는 새로운 환경 부담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전력 소비 적은 친환경 정수기 고르는 법
직수형 및 비전기식 정수기는 전력 소비가 낮아 친환경적입니다.
한국소비자원 조사(2022)에 따르면, 일반 저수조 방식 정수기는 냉·온수 유지를 위해 연평균 240600kWh의 전력을 소비합니다. 하지만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가 없어 전력 소비량이 약 5070% 적습니다.
비전기식 정수기(그래비티 필터 방식 등)는 전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전력 소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됩니다.
NSF 인증 필터가 친환경인 이유
NSF 인증 필터는 수명이 길고, 성능이 오래 유지돼 자원 낭비를 줄입니다.
NSF 인증 필터는 표준(ANSI 42, 53, 58, 401)에 따라 최소 6개월2년의 수명을 보장합니다. 일반 필터 대비 수명이 2030% 길어, 필터 교체로 인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연간 약 25~3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2022)는 NSF 인증 필터 사용을 통해 수질 개선과 환경 보호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전력 소비 최소화를 위한 관리 팁
정수기 사용 중에도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 자료(2023)에 따르면 정수기 냉·온수 기능을 필요할 때만 켜면, 연간 전력 소비량을 약 3050%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저전력·에너지 효율 1등급 정수기를 선택하면 평균 2040% 전력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 필터 막힘 현상을 방지하면 정수기 작동 효율이 높아져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필터 재활용·재사용, 친환경 정수기 선택 기준
재활용 가능 필터를 사용하는 정수기를 선택하면 친환경 효과가 높아집니다.
최근 출시된 일부 정수기는 필터의 플라스틱 부분을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거나, 필터 케이스만 교체하고 활성탄 등 내부 필터를 재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 보고서(2021)는 필터 재사용 방식을 채택한 제품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연간 최대 40%까지 감소시킨다고 밝혔습니다.
결론: 친환경 정수기는 필터·전력 모두 고려해야
정수기 사용은 일회용 생수병 소비를 크게 줄여 환경에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전력 소비를 줄이려면 직수형·비전기식 제품을 선택하고, NSF 인증 필터를 사용해 교체 주기를 늘리고 필터 폐기물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실천 팁 3가지
• 직수형 또는 비전기식 정수기를 선택해 전력 소비 최소화
• NSF 인증 필터로 필터 수명 연장 및 폐기물 감소
• 냉·온수 기능 사용 시 필요한 때만 작동하기
FAQ
Q1. 전기식 정수기보다 비전기식이 더 안전한가요?
A1. 안전성은 비슷하며, 비전기식이 전력 소비가 없어 친환경적입니다.
Q2. 친환경 정수기의 초기 비용이 높은 이유는?
A2. 친환경 소재나 고효율 필터 사용으로 초기 비용은 높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제적입니다.
'정수기 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에너지 시대, 태양광 연계 정수기란? (2) | 2025.07.25 |
---|---|
정수기 전력 소비, 직수형이 진짜 답인가? (2) | 2025.07.24 |
필터 교체 알림 기능, 믿어도 될까? (1) | 2025.07.23 |
필터 교체 주기와 유지비 계산법 총정리 (0) | 2025.07.23 |
마크만 NFC? NSF 공식 DB 검증법 완벽정리 (1) | 2025.07.22 |
◀ 댓글 ▶